2023년 실업급여 금액 계산기 상한액 하한액 신청방법

2023년 실업급여 금액 계산기 상한액 하한액 신청방법

2023년 실업급여 금액 계산기 및 상한액 하한액 신청방법 입니다. 본 글에서는 실업급여의 목적과 2023년 계묘년 기준으로 실업급여 상한액은 얼마인지 급여일수가 무엇인지 알아봅니다. 근로자와 직장인은 퇴직 후 실업급여 신청방법에 따라 지급 받아야 합니다.

노동부는 퇴사한 근로자가 잠시나마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실업자에 대한 보상을 합니다. 지금부터 2023년 실업급여 금액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2023년 실업급여 금액

실업급여란?

실업급여란 지급하는 목적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정확히는 4대 보험에 가입된 직장인이 퇴직한 경우 고용보험에서 보장하는 실업급여를 받는 것 입니다.

  1. 실업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을 해결 및 생활 안정화 목적
  2. 구직자에게 재취업 기회 제공
  3. 적극적인 취업활동을 하면서 증빙서류 제출

실직 후 실업급여 금액을 받으려면 퇴사 하자마자 바로 신청해야 합니다.

2023년 실업급여 금액

지금부터 직장인이자 근로자인 사람이 실직할 경우 받을 수 있는 실업급여 금액을 2023년 기준으로 알아봅니다. 많이 받을 수 있는지 적게 받게 되는지 미리 알아두면 좋습니다.

 

실업급여 상한액

실업급여를 신청해서 자격 대상자 조건에 해당 할 경우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이직 전 평균임금의 60%에 소정 급여일수가 곱해 집니다.

  • 상한액 계산방법 : (이직 전 평균임금 x 0.6) x 급여일
  • 2023년 실업급여 상한액 : 66,000원
  • 2022년 상한액 : 66,000원
  • 2021년 : 66,000원
  • 2020년 : 6만 6천원
  • 2019년 : 6만 6천원
  • 2018년 : 60,000원
  • 2017년 : 50,000원
  • 2016년 : 43,000원

실업급여 하한액

무조건 많이 받을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직장인 실업급여 하한액도 계산하는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퇴직일을 기준으로 최저시급의 80%에 1일 소정근로시간(8시간)을 곱해서 산출할 수 있습니다.

  • 하한액 계산방법 : ( 9,620원  x 0.8 ) x 1일 소정근로시간

실업급여 계산기

2023년 퇴직일 기준으로 최저시급인 9,620원에 가중치 0.8을 곱하고 1일 근로시장 8시간을 곱하면 됩니다. 실업급여 계산기를 쓰지 않아도 올해 하한액이 61,568원 이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서울,대전,대구,부산,광주,목포,울산 직장인 2023년 실업급여 금액 기준은 회사마다 동일 합니다. 본인에 회사에서 얼마를 받는 지에 따라 지급 받을 수 있는 액수가 달라집니다.

 

수급조건

실업급여 수급조건 및 수급요건 고용보험에는 총 4가지 요건이 있습니다.

  1. 이직일 이전 18개월간 (초단시간 근로자의 경우, 24개월) 피보험 단위 기간이 통산해 180일 이상
  2. 근로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에도 실업 상태인 경우
  3. 재취업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 상태
  4. 이직사유가 비자발적인 사유일 것

신청방법

본인이 자발적으로 회사에서 나오면 실업급여 수급 조건을 만족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회사에 말하면 대부분은 여러가지 사유를 만들어서 돕습니다.

2023년 실업급여 신청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1. 실업급여 수급기간의 이직일 다음 날부터 12개월 내
  2. 워크넷 구직등록 신청하기

지금까지 고용보험 노동부에서 제시하는 2023년 실업급여 금액 계산기 상한액 하한액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재취업 기간 동안 구직활동 하면서 실업급여 혜택을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