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2023 한부모가족 지원 선정 대상자 자격조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버지나 어머니만 있거나 할머니, 할아버지 중 1명이 손녀 자녀등을 돌보는 중이라면 한부모가족 지원 대상자가 될 수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매해 마다 기대할 수밖에 없는 2023년 한부모가족 지원 선정 대상자를 작년과 비교해서 알려드립니다. 지난해 혜택을 보고 있는 한부모 가정의 부모님이라도 자녀를 위해 다시한번 더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한부모가족 지원대상자란?
한부모가족 지원대상자란 말의 뜻과 의미는 한부모가족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는 대상자을 말합니다. 저소득층인 미혼가족, 한부모 가정의 생활 안정과 자립기반 조성을 위해 지원하는 복지 제도 중 하나 입니다.
2022년과 다르게 한부모가족 지원대상 조건은 매해 변동 됩니다. 아무래도 물가 상승분을 반영하기도 하고 정부가 달라지면 정책의 방향이 달라지기 때문에 변하는 것 같습니다. 소득기준이 상향 됐으며 지급 단가도 인상 됐습니다.
본격적인 이야기는 2023년 한부모가족 지원대상 자격조건 부터 시작하겠습니다.
한부모가족 지원 정책
한부모가족을 위한 지원 정책은 꽤 다양합니다. 이중에서 가장 많은 부모님들이 이용한느 5가지 정책을 소개합니다.
- 한부모가족자녀 양육비 지원
- 청소년한부모 등 자립지원 패키지
- 청소년 한부모 자립지원
-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지원
- 한부모가족 무료 법률구조
1. 한부모가족자녀 양육비 지원
만 18세 미만 자녀가 있으면 월 20만원의 아동양육비가 지원 됩니다. 조손 가정이거나 만 35세 이상 미혼 한부모 가족 5세 이하 자녀는 월 5만원을 추가 지급 합니다. 또 만 25세~35세 한부모 가족 자녀에게도 월 5만원~10만원이 추가 지원 합니다.
시설 입소가구 월 5만원과 중학생 고등학생 자녀가 있으면 연 93000원의 학용품비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청소년한부모 등 자립지원 패키지
2023년도 청소년 한부모 및 미혼보 무 양육 취업 과 각종 지원 정보를 종합적으로 안내 받을 수 있습니다. 일일이 찾아보지 않아도 청소년 한부모, 미혼보 부자 가족이 받을 수 있는 복지 정책을 안내받고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3. 청소년 한부모 자립지원
청소년과 함께 생활하는 한부모라면 아동 양육비로 월 35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청소년의 자립을 위해 검정고시 학습지원을 합니다. 1년 기준으로 154만원 이내와 자립 촉진수당 월 10만원을 받게 됩니다.
4.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지원
한부모가족 복지시설의 시설 보수, 신축, 자재 구입부터 시설 아이돌봄서비스, 시설 입소자 상담과 같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5. 한부모가족 무료 법률구조
아무래도 가장 필요한 정책 보조 지원이 아닌가 싶습니다. 한부모 가족을 대상으로 소송대리, 법률상담, 법률사무 등 무료 법률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막상 해보면 무료라서 그런지는 몰라서 자기 일처럼 나서서 하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
2023 한부모가족 대상자 자격조건
2024년에도 계속되는 2023 한부모가족 지원 선정 및 대상자 자격조건을 표로 정리했습니다. 아동양육비와 아동지원 교육비 및 생계비 항목별 지급액 기준을 확인 바랍니다.
지원종류 | 지원기준 | 지원금액 |
---|---|---|
아동양육비 | 기준중위소득 60%이하 만 18세 미만 자녀 가족 | 자녀 1인당 월 20만원 |
추가아동양육비 | 기준중위소득 60%이하 조손 및 만 35세 이상 미혼 한부모가족의 만 5세 이하 아동 | 자녀 1인당 월 5만원 |
기준중위소득 60%이하 만 25세 ~ 만35세 이하 미혼 한부모가족의 만 5세 이하 아동 | 자녀 1인당 월 10만원 | |
기준중위소득 60%이하 만 25세 ~ 만35세 이하 미혼 한부모가족의 만6세 이상 만18세 미만 아동 | 자녀 1인당 월 5만원 | |
아동지원 교육비 | 기준중위소득 60%이하 중학생, 고등학생 자녀 | 자녀 1인당 연 9.3만원 |
생계비 |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입소 가족중 중위소득 60%이하 가족 | 가구당 월 5만원 |
한부모가족 지원 선정
2023년 한부모가족 지원에 선정되려면 중위소득 자격조건을 충족시켜야 합니다. 1인,2인,3인,4인,5인,6인 가구별 기준 중위소득을 확인하고 맞다면 신청하길 바랍니다.
구분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2023년 중위소득 | 3,456,155원 | 4,434,816원 | 5,400,964원 | 6,330,688원 | 7,227,981원 |
한부모 및 조손가정 (중위소득 60%) |
2,073,693원 | 2,660,890원 | 3,240,578원 | 3,798,413원 | 4,336,789원 |
청소년 한부모가족 (중위소득 65%) |
2,246,501원 | 2,882,630원 | 3,510,627원 | 4,114,947원 | 4,698,188원 |
청소년 한부모가족 (중위소득 72%) |
2,488,432원 | 3,193,068원 | 3,888,694원 | 4,558,095원 | 5,204,146원 |
그외 한부모 지원
- 이동통신요금 감면
- 전기요금 감면
- 도시가스요금 감면
- 자동차검사 수수료 면제
- 과태료 50% 감경
- 아이돌봄서비스 우선 제공
- 어린이집 우선 제공
- 육아휴직급여
- 문화이용권 10만원 지원
- 복권판매업 우선계약
- 공공시설 매점 및 시설설치 우선 허가
- 정부 민원 이용 시 수수료 면제
이상으로 2023 한부모가족 지원 선정 대상자 자격조건에 대한 이야기를 마칩니다. 부모 혼자서 아이를 키운다는 게 쉬운 일도 아니고 대단 합니다. 박수를 받아 마땅 합니다. 나라에서 더욱 많은 지원책이 나오길 바랍니다.